<제목 차례>
요 약 11
Ⅰ. 서 론 2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5
2. 연구의 내용 26
Ⅱ. 모형 개선점의 방향 28
1. 급여의 종류와 수급조건 28
2. 현재모형의 수급자 추계방법 30
가. 노령연금수급자 추계 32
나. 장애연금수급자 추계 34
다. 유족연금수급자 추계 34
라. 일시금수급자 추계 35
3. 모형과 실적과의 비교 35
가. 실적(2007~2010년)과의 비교 36
나. 실적과의 차이에 대한 분석 40
4. 노령연금 수급자 변화 41
가. 노령연금 수급자 현황 41
나. 조기노령연금 신규수급자 42
다. 재직자노령연금 수급자 45
5. 장애연금 및 유족연금의 발생 추이 49
가. 장애연금 신규수급자 49
나. 유족연금 신규수급자 52
6. 개선점의 방향 53
Ⅲ. 수급자추계방법론과 기초율 추정 55
1. 노령연금 55
가. 추계 방법 56
나. 조기수급률 58
다. 재직수급률 67
라. 현재모형과의 비교 74
2. 장애연금 78
가. 추계방법 78
나. 장애발생률 79
다. 현재모형과의 비교 88
3. 유족연금 90
가. 추계방법 90
나. 유유족률 91
다. 사망자와 수급자의 관계 103
라. 현재모형과의 비교 108
4. 반환일시금 및 사망일시금 110
가. 추계방법 110
나. 국외이주로 인한 수급률 111
5. 중복급여 114
Ⅳ. 결론 및 향후과제 116
부 록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