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1) 국민연금기금의 인플레이션 헤지 투자방안 - 물가연동채권을 중심으로
작성부서
등록일
20120101
조회수
5555
내용

 

<제목 차례>

요 약  11
Ⅰ. 서  론  29
 1. 연구의 목적  29
 2. 연구의 범위  31
 3. 선행연구  32
  3.1. 금리와 인플레이션  32
  3.2. 채권과 인플레이션  32
  3.3. 주식과 인플레이션  33
  3.4. 대체투자와 인플레이션  35
  3.5. 투자전략과 인플레이션  36
Ⅱ.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의 필요성 및 수단  37
 1. 인플레이션 리스크의 개요  37
 2. 전통적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 수단  39
 3. 새로운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 수단 : ILB  41
Ⅲ. 해외연기금 사례  47
 1. 해외연기금의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투자 현황  47
  1.1.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  47
  1.2. 미국 캘리포니아교직원연금(CalSTRS)  53
  1.3. 캐나다 CPPIB  55
  1.4. 네덜란드 ABP  57
  1.5. 스웨덴 AP  60
Ⅳ. 물가연동채권의 개요  62
 1. 물가연동채권의 개념  62
  1.1. 물가연동채권의 의의  62
  1.2. 물가연동채권의 실질가치 보전 효과  63
 2. 인플레이션 연계 방식의 종류와 현금흐름의 구조  65
  2.1. Capital Indexed Bond (CIB)  66
  2.2. Interest Indexed Bond (IIB)  67
  2.3. Current Pay Bond (CPB)  68
  2.4. Indexed Annuity Bond (IAB)  68
  2.5. Indexed Zero-Coupon Bond (IZCB)  69
 3. 투자자 측면에서의 물가연동채권의 기능과 역할  71
  3.1. 인플레이션 위험의 헤지  72
  3.2. 수익률의 상대적 안정성  74
  3.3. 전통적 채권 및 주식 대비 성과  75
  3.4. 총수익 투자기회  77
  3.5. 듀레이션과 현금흐름  78
  3.6. 과세제도  79
  3.7. 유동성  80
  3.8. 기타 물가연동채권의 투자 저해 요인  81
 4. 발행자 측면에서의 물가연동채권의 기능과 역할  82
  4.1. 정부의 경우  84
  4.2. 일반기업의 물가연동채권 발행 목적  87
 5. 물가지수연계 파생상품  88
  5.1. 개요  89
  5.2. 물가지수연계 파생상품의 종류  90
Ⅴ. 주요국의 물가연동채권 발행 현황  95
 1. 미국  97
 2. 영국  100
 3. 캐나다  102
 4. 일본  103
 5. 프랑스  106
 6. 호주  108
 7. 그 외의 국가  110
 8. 한국의 물가연동국채 시장현황과 문제점  113
Ⅵ. 우리나라의 자산별 인플레이션 헤지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123
 1. 물가연동채권 및 기타 헤지 대안의 통계적 특성  123
 2. 시뮬레이션을 통한 물가연동채권의 수익률 시계열 추정  129
 3. 각 자산별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분석  134
  3.1. 단기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검정 : 실현인플레이션율을 이용한 분석 136
  3.2. 단기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검정 : Fama-Schwert Regression의 적용 144
  3.3. 글로벌금융위기 이전의 자료를 이용한 물가헤지 검정 151
 4. 벡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장기인플레이션 헤지효과 검정 158
 5. 시사점 162
Ⅶ. 물가연동채권과 국민연금기금의 최적자산배분  164
 1. 물가연동채권의 분산투자 및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164
  1.1. 물가연동채권이 최적자산배분에 미치는 영향  164
  1.2. 물가연동채권과 ALM  166
 2. 국민연금의 자산배분현황  171
  2.1. 자산군과 수익률  171
  2.2. 자산배분 현황  172
 3. 최적자산배분을 위한 자산군의 선택  173
 4. 물가연동채권과 최적자산배분 분석  176
  4.1. 물가연동채권을 포함한 최적자산배분  176
  4.2. 해외 물가연동채권지수를 포함한 최적자산배분  178
  4.3. CRB를 포함한 최적자산배분 : 물가연동채권 제외  180
 5. 물가연동채권을 편입한 포트폴리오의 물가헤지능력 검정  183
 6. 시사점  186
Ⅷ. 결 론  187
참고문헌  190

 

첨부
17-국민연금기금의 인플레이션 헤지 투자방안(물가연동채권을 중심으로).pdf
목록
다음글
(11) 연기금 투자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전글
(11) 국민연금기금 사회간접자본투자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