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Contents
<요 약> 1
Ⅰ. 서론 9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13
1. 선행연구 13
2. 방법론 17
Ⅲ. 확률적 중첩세대 모형 19
1. 모형경제 설정 19
2. 일반균형 30
3. 캘리브레이션 31
Ⅳ. 거시경제 변수의 장기전망 43
1. 개요 43
2. 결과 및 시사점 44
Ⅴ. 결론 51
참고 문헌 53
표차례
<요약표 1> 근로세대 연령별 노동생산성 가정(평균) 6
<요약표 2> 총요소생산성 관련 모수 및 전제 7
<표 1> 주요국 장기 경제, 재정, 연금 전망 보고서 정리(해외) 14
<표 2> 주요국의 장기 경제·재정·연금 모형에 대한 연구 사례 18
<표 3> 국가재정 항목별 정리(2014년과 2017년 기준) 29
<표 4> 인구구조 33
<표 5> 생존율 요약표 36
<표 6> 근로세대 연령별 노동생산성 가정(평균) 37
<표 7> 총요소생산성 관련 모수 및 전제 38
<표 8> 이질적 노동생산성 충격 관련 모수 및 전제 39
<표 9> 주요 파라미터 값 39
<표 10> 세율 관련 파라미터 값 40
<표 11> 경제 및 재정 변수의 전제조건 45
그림차례
<그림 1> 인구분포 및 0세, 21세 인구 비교 37
<그림 2> 2010년 대비 인구 증가 38
<그림 3> 인구성장률 38
<그림 4> 인구분포 45
<그림 5> 자본스톡 46
<그림 6> 자본스톡 증가율(%) 46
<그림 7> 노동 47
<그림 8> 노동 증가율(%) 47
<그림 9> 실질소비 48
<그림 10> 실질소비 증가율(%) 48
<그림 11> 실질GDP 49
<그림 12> 실질경제성장률(%)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