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 2018-09)국민연금의 자국편의에 대한 연구
작성부서
등록일
조회수
1623
작성자
정지영, 김민정, 윤보현
연락처
063-713-6762
내용


목 차|Contents


 

<요약> 1

 


Ⅰ. 서론 9

 

1. 연구배경과 목적 9

 

2. 연구의 범위 11

 

 

Ⅱ. 국제 분산투자 13

 

1. 분산투자와 상관계수 13

 

2. 국제 자본자산가격결정 모형 16

 

3. 국제 분산투자와 상관계수 18

 

4. 우리나라의 국제 분산투자 21

 

 

 

Ⅲ. 자국편의 현상 29

 

1. 자국편의 수준의 측정 30

 

2. 국민연금의 자국편의 현황 및 관련 논의 32

 

 

 

Ⅳ. 자국편의 영향 요인 39

 

1. 선행연구 39

 

2. 연기금 관련 선행연구 46

 

3. 국민연금의 자국편의 관련 고려 요인 50

 

 

 

Ⅴ. 연구방법론 55

 

1. 확률 프로그래밍 55

 

2. 시나리오 생성 58

 

3. 의사결정 및 매개 변수 60

 

4.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 61

 

 

 

Ⅵ. 다기간 포트폴리오 선택 모형의 적용 67

 

1. 모형 설정 개괄 67

 

2. 기간별 모형 설정 74

 

3. 최적 자산배분 결과 84

 

 

 

Ⅶ. 결론 및 시사점 97

 

 

 

참고문헌 103

 

 

 

표 차 례

 

<표 Ⅱ-1> KOSPI 지수와 해외 주요 지수 간 상관계수 21

 

<표 Ⅲ-1> 주요 연기금의 자국편의 현황 33

 

<표 Ⅲ-2> 국내주식 비중에 대한 정책조건 변화 35

 

<표 Ⅲ-3> 국내/해외주식 목표비중 설정 경과 35

 

<표 Ⅲ-4> 평균 실질경제성장률 및 거래소 주가지수 변화율 36

 

<표 Ⅳ-1> 자국편의 관련 요인 정리 51

 

<표 Ⅴ-1> 의사결정 및 매개 변수 60

 

<표 Ⅵ-1> 다기간 포트폴리오 선택 모형 변수의 표기 69

 

<표 Ⅵ-2> 시나리오 구조 가정 71

 

<표 Ⅵ-3> 기간별 분석 모형 설정 73

 

<표 Ⅵ-4> Period-1 분석 모형의 특징 77

 

<표 Ⅵ-5> Period-2 분석 모형의 특징 80

 

<표 Ⅵ-6> Period-3 분석 모형의 특징 84

 

<표 Ⅵ-7> Period-1 분석모형: 0단계 최적 자산배분 결과 85

 

<표 Ⅵ-8> Period-2 분석모형: 0단계 최적 자산배분 결과 88

 

<표 Ⅵ-9> Period-3 분석모형: 0단계 최적 자산배분 결과 92

 

 

 

그 림 차 례

 

[그림 Ⅱ-1] KOSPI 지수와 MSCI World 지수의 상관계수 시계열 22

 

[그림 Ⅱ-2] 경기순환요인의 시계열 23

 

[그림 Ⅱ-3] 기준순환일에 따른 경기변동국면 24

 

[그림 Ⅱ-4] 환 전략에 따른 상관계수의 시계열 변화 25

 

[그림 Ⅱ-5] 경기변동국면과 상관계수 26

 

[그림 Ⅲ-1] 주요국의 자국편의 수준 31

 

[그림 Ⅴ-1] 시나리오 팬(fan)의 트리 구조로의 변환 59

 

[그림 Ⅵ-1] Period-1 분석모형: 자산배분 평균 비중 87

 

[그림 Ⅵ-2] Period-2 분석모형: 자산배분 평균 비중 90

 

[그림 Ⅵ-3] Period-3 분석모형: 자산배분 평균 비중

 

  

첨부
(정책 2018-09)국민연금의 자국편의에 대한 연구.pdf
목록
다음글
(용역 2019-01) 국민연금기금 경영참여 주주권행사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이전글
(연구자료 2018-01)2018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성과 평가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