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프로젝트 2017-07) 일본의 공사연금제도 연구
작성부서
국민연금연구원
등록일
조회수
2338
작성자
김헌수, 김재현
연락처
063-713-6778
내용

목 차Contents

요 약 1

. 서 론 33

1. 연구배경과 목적 33

2. 주요 연구내용 35

. 일본 공·사적 연금체계 및 역사적 발전과정 37

1. 노후소득보장체계 개관 37

2. 역사적 발전과정 40

. 일본 공적연금제도 83

1. 공적연금제도 개요 및 현황 83

2. 공적연금제도의 문제점 114

3. 공적연금제도 개선논의 122

. 일본 사적연금제도 129

1. 사적연금제도 개요 및 현황 129

2. 사적연금제도의 문제점 162

3. 사적연금제도 개선논의 176

. 기타 노후소득보장제도 189

1. 생활보호제도 189

2. 아동부양수당 193

. 우리나라 공·사연금제도 내실화에 주는 시사점 및 결론 195

1. 시사점 195

2. 결론 205

참고문헌 209

부 록 213

표 차 례

 

1공적연금 급여종류 10

2기초연금과 후생연금 급여의 중복수급 12

3후생연금 수급자 수 추이(1) 13

4국민연금 보험료 전액 및 일부 면제자 추이 17

5생활부조기준액(20174월 기준, 예시) 25

-1노령연금 급여체계(1954, 1959년 비교) 42

-2노령연금 급여체계(1965) 43

-3노령연금 급여체계(1980) 44

-4노령연금 급여체계(1985) 47

-5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 인구전망비교 49

-6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 인구전망비교(계속) 49

-7거시경제슬라이드 메커니즘(재정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기간 중 작동) 52

-8일본의 공적연금 주요 변천 57

-9적격요건의 개요 75

-10적격퇴직연금 계약건수가입자수연금자산액 추이 78

-1단시간 근로자의 후생연금 적용을 위한 기본원칙 84

-2후생연금 피보험자 적용제외 및 상용근로인정 규정 85

-3공적연금의 가입체계 87

-4성별 공적연금 피보험자수(2015년 기준) 89

-5국민연금 피보험자수 추이 90

-6후생연금 적용상황 추이(1) 90

-7면제대상 소득기준(2017년 기준) 91

-8공적연금 급여종류 96

-9장해등급 기준 99

-10기초연금과 후생연금 급여의 중복수급 100

-11보험료 납부기간 분할건수 103

-12후생연금 수급자 수 추이(1) 104

-13후생연금 평균연금월액 추이(1) 104

-14후생연금 표준보수월액 추이(1) 105

-15후생연금 표준상여액 추이(1) 105

-16퇴직일시금 금액(2017년 기준) 108

-17기존 운용위원회와 개정 경영위원회의 비교 113

-18단시간 근로자의 적용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내용 118

-19국민연금 보험료 전액 및 일부 면제자 추이 121

-20사회보장협정국 비교 122

-1확정급부형기업연금 가입자의 일정 요건 137

-2후생연금기금과 확정급부기업연금의 비교 143

-3노령급부금 수령요건 147

-4확정갹출형 부담금(60세 미만 근로자) 148

-5iDeCo 가입대상자 수 151

-6연령계층별부담금액별 iDeCo 가입자 현황 154

-7개인연금보험료 공제액 계산 157

-8개인연금보험의 신규계약보유계약 현황 158

-9개인연금보험 보유계약 건수 158

-10우리나라 퇴직연금과 일본 기업연금의 현황 비교 160

-11우리나라와 일본 퇴직연금제도 비교 161

-12금융청의 자산운용 관련 규제감독 개선 주요내용 164

-13후생노동성의 자산운용규제 개선 주요내용 166

-14확정급부형 기업연금의 재정상황 168

-15위험자산 구입 경험 173

-16위험상품 구입시 상품성에 대한 이해 174

-17세대주의 개인연금보험 급부기간 176

-18>‘개정 DC의 주요내용 181

-1생활보호대상자 세대 구성 변화 190

-2생활에 필요한 각종 비용에 대한 부조금 지급내용 192

-3생활부조기준액(20174월 기준, 예시) 193

-4아동부양수당 지급액(20168월까지 적용기준) 194

-5아동부양수당 지급대상 소득기준(20144월 기준) 194

부록 표 1노령기초연금 급여지급 요건(2017년 기준) 213

부록 표 2노령후생연금 급여지급 요건(2017년 기준) 214

부록 표 3장해(장애)기초연금 지급 요건(2017년 기준) 215

부록 표 4장해(장애)후생연금 지급 요건(2017년 기준) 217

부록 표 5공적 유족연금의 지급요건 217

부록 표 6생활부조기준액 산출방법(2017년 기준, 예시) 219

그 림 차 례

 

그림 1일본의 공·사연금 체계 3

그림 2일본 공적연금 피보험자 수 추이 9

그림 3일본 공적연금 수급자 수 추이 11

그림 4일본 사적연금 종류 21

그림 -1일본의 공·사연금 체계 38

그림 -2일본의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44

그림 -3후생연금 및 국민연금의 보험료() 인상 계획 50

그림 -4공적연금과 퇴직금기업연금의 조정 61

그림 -5급부형태별 후생연금기금 수 추이 65

그림 -6적격퇴직연금에서의 연금·일시금 급부 추이 70

그림 -7후생연금기금에서의 연금·일시금 급부 추이 70

그림 -8후생연금기금의 수 및 가입자 수 추이 71

그림 -9적격퇴직연금 계약건수 추이 78

그림 -10적격퇴직연금 자산 추이 79

그림 -1일본 공적연금 피보험자 추이 88

그림 -2일본 공적연금 수급자 수 추이 97

그림 -3회사원 남편과 전업주부 부인이 이혼한 경우(예시) 102

그림 -4일본 공적연금의 수입 및 지출 개요(재정구조) 109

그림 -5피용자연금 일원화 이후 공적연금 적립금의 운용구조 111

그림 -6일본 GPIF의 적립금 운용구조 112

그림 -7고용형태별 연령별 임금수준 분포 119

그림 -8거시경제 슬라이드 준칙의 적용(예시) 124

그림 -9국민연금 제1호 가입자의 출산전후 기간의 보험료
면제 및 재정부담 128

그림 -1후생연금기금제도의 구조 130

그림 -2단독형·연합형·종합형 개념도 131

그림 -3캐쉬밸런스플랜 개념도 133

그림 -4기금형 개념도 138

그림 -5기업연금기금의 조직도 139

그림 -6규약형의 개념도 140

그림 -7기업형 학정갹출연금 개념도 145

그림 -8개인형 확정갹출연금 개념도 149

그림 -9확정급부형 기업연금의 적립비율 추이 169

그림 -10확정급부형 기업연금의 건수 추이 170

그림 -11일본 기업연금제도별 가입자 추이 172

그림 -12분야별 정답률 173

그림 -13계속교육 실시 의향 175

그림 -14경제환경과 기업실적연금재정의 관계 177

그림 -15기업연금의 적립부족액과 닛케이평균주가 추이 178

그림 -16리스크대응 부담금에 의한 적립부족 억제 179

그림 -17월단위갹출과 연단위갹출의 차이 184

그림 -18개인형 DC의 가입범위 확대 185

그림 -1피보호세대수, 피보험인, 보호율 추이 189

그림 -2생활보호비 지급방식 도해 191

그림 -1일본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및 납부율 추이 197

 

첨부
프로젝트 2017-07 일본의 공사연금제도 연구.pdf
목록
다음글
(연구자료 2017-02) 국민연금 가입제도 형평성 제고 방안 연구
이전글
(프로젝트 2017-06) 우리나라 공사연금제도의 내실화 방안과 정부의 역할